전체 글

전체 글

    [Java] HashMap

    HashMap HashMap은 Map 인터페이스에 속해있는 컬렉션이다. Map 인터페이스의 기본 기능들을 전부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들은 모두 (키, 값)의 1:1 구조로 되어있는 Entry로 되어있다. 같은 키의 값을 삽입하려고하면 해당 키의 값이 변경된다. 키는 고유한 속성이지만 값은 고유한 속성이 아니다. 키는 중복이 되지 않지만 값은 중복될 수 있다. 다른 특징은 HashTable과 유사하지만 동기화가 되지 않고 Null 값도 저장이 가능하다. HashMap 선언 및 사용 import java.util.HashMap; public class HashMap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ashMap hm = new HashMap(); // 타..

    [Java] ArrayList

    ArrayList는 배열에서 좀 더 발전된 형태이다. 공부하면서 array만 썼는데 ArrayList를 알고 나서 매우 편하다는 걸 알게 되었다. ArrayList에 대해 알아보자. ArrayList란? Collection 프레임워크의 일부이며 java.util 패키지에 소속되어 있다. 표준 배열보다는 느리지만 배열에서 많은 조작이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rrayList는 자바의 List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여러 클래스 중 하나이다. 일반 배열과 동일하게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며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배열과의 차이점은 배열의 크기가 고정인 반면 ArrayList는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한다. 내부적으로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 용량이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인 공간의 크기가 있다. ..

    [WEB] HTTP와 HTTPS의 차이

    1.HTTP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즉,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HTTP서버가 80번 포트에서 요청을 기다리고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80번 포트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 HTTP는 1989년 팀 버너스 리에 의해 처음 설계되었으며, WWW(World-Wide-Web) 기반에서 세계적인 정보를 공유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구조] HTTP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작동한다. HTTP는 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는 Stateless 프로토콜이며 Method, Path, Version, ..

    221118_TIL

    벌써 이 과정을 시작한지 2달이 다 되간다. 아직 배운걸 다 이해도 못햇는데 진도는 계속 나가니 점점 밀리는 느낌이다. 이번주는 스프링프로젝트가 끝나고 자습하는 주 이다. 이때 빨리 못한 부분을 따라잡아야 한다 생각하고 열심히 하고 있다. 또한 오늘이 수능이더라. 원래 수능때는 날씨가 엄청 추웠던 걸로 기억하는데 올해는 많이 따뜻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요즘 공부량이 고등학생때보다 훨씬 많다고 느껴진다... 다음주부터는 스프링부트를 새로운 강사님과 나가니까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다시 시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