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Web] Web Server 과 WAS

    Web Server 클라이언트가 서버 페이지에 요청하면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html, .css 등)를 제공하는 서버 HTTP 프로토콜을 기반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 하는 기능 담당 동적 컨텐츠 제공이 필요한 경우 HTTP Request를 Was에게 릴레이함 대표적으로 Apache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서버 이다. 정적인 데이터 처리(단순 이미지나 html 파일과 같은 리소스만을 제공하는 서버는 빠르고 안정적이게 활용)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관리하는 http 웹 서버(구축 쉬움, 다양한 추가 기능, 무료) WAS(Web Application Server)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여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정적 & 동적 컨텐츠 처리가 모두 가능함 아파치 웹 서버보다는 느림 웹의 모든 ..

    카카오 화재 사건

    지난 10월 15일 카카오 3만 2천여 대의 서버를 가동해온 SK C&C 분당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다음, 티스토리, 카카오 뱅크, 카카오페이 등등 카카오 계열사 주요 기능들이 불통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화재의 원인은 전기실 내 정전으로 인한 서버 셧다운 방지하기 위해 구축한 무정전 전원 장치(UPS) 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사태로 인해 카카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피해를 입었다. 이번 카카오 화재 사건은 대다수가 사용하는 각종 메신저, 결제 및 예약 서비스 등이 필수 임에도 이들의 위기 대처 능력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이 이번 사고로 나타났다. 하나의 플랫폼이 독점을 하면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례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문제점은 서버분산을 안 한 ..

    [Web] 정적, 동적 웹페이지

    정적 웹 페이지(Static Pages) 웹 서버에 이미 완성본으로 저장되어 있는 파일(html)을 전달하는 웹 페이지이다. 한 요청에 관해 모든 사용자가 같은 결과를 받는다. 사용자는 서버의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는 한 고정된 웹페이지를 보게 된다. 장점 다른 처리 없이 요청에 대한 파일만 전송하기 때문에 빠르다. 단순한 문서로 웹 서버를 구축하므로 호스팅 서버에 연결하는 비용이 적다. 단점 저장된 정보만 보여주기 때문에 서비스가 한정적이다. 추가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이 모두 코드를 직접 건드려야 하므로 관리가 힘들다. 정적 웹페이지: 회사 소개 페이지, 댓글 없는 블로그 등등 동적 웹 페이지(Dynamic Pages)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스크립트에 의해 가공처리하여 만들어진 html 문서를 전달하는 ..

    [Web] GET 과 POST 의 차이

    GET 영어의 뜻과 같이 가져오다 라는 거라고 이해하면 된다. 우리가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오는 상황과 유사하게 GET은 어떠한 정보를 가져와서 조회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식 특징 URL에 변수(데이터)를 포함시켜 요청한다. 데이터를 Header(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어 보안에 취약하다. 캐싱할 수 있다. GET 방식은 간단한 데이터를 URL에 넣도록 설계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양에 한계가 있다. HTTP 자체는 GET 방식의 URL 길이에 제약을 두고 있지 않지만, 브라우저에서 최대 길이를 제한하고 있으며 URL 형식에 맞지 않는 파라미터 이름이나 값은인코딩되어 전달되어야 한다.(이때 보내는 길이가 너무 긴 경우 초과 데이터는 절단) 특별히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