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Spring] 왜 Service 와 ServiceImpl로 나누는걸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설계할 때 자연스럽게 service와 serviceImpl로 설계를 했다. 큰 생각이 없다가 강의를 들으면서 문득 왜 나누는 거지란 의문이 들어서 블로그를 찾아보며 정리해 보았다. 이유 이유는 인터페이스와 구현체를 분리함으로 코드의 구조화, 확장성, 유지보수성을 개선하기 위함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Service는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고, ServiceImpl은 실제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클래스이다. 코드의 구조화: Service 인터페이스와 ServiceImpl 구현 클래스를 사용하여 코드를 논리적으로 구조화함으로 코드를 더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확장성: Service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구현체를 만들 수 있다. 이..

    앱의 종류(웹 앱,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차이점 애플리케이션은 고객과 정보를 교환하고 고객의 특정 작업을 완료하도록 돕는 소프트웨어이다. 개발 방법과 내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이 있다. 웹 앱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웹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반면 네이티브 앱은 특정 플랫폼이나 디아이스 유형에 맞춰 구축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디바이스에 적절한 소프트웨어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하이브리드 앱은 웹 브라우저가 내부에 포함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이다. 그럼 조금 더 자세히 각 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웹 앱 -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웹 앱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하고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HTML, CSS, JavaScript와 같은 웹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되며,..

    웹 3.0 이 뭘까?

    책 읽다가 웹 3.0에 대한 내용이 잘 정리가 되지 않아 정리해보려고 한다. 웹 3.0 이 뭐지? 웹 3.0은 기본적으로 웹 2.0의 핵심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소유'의 개념이 더해진 것이다. 세계 곳곳에 흩어진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는 블록체인 기술 덕분에 자료가 분산 저장되고, 이더리움 같은 가상화폐에 내재된 자동화 프로그래밍 기술로써 관리자의 개입 없는 웹 이용이 가능하다. 즉, 데이터의 저장과 사용, 소유가 네티즌에게 주어지는 완전히 개인화된 인터넷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개념이다. 이를 활용한 기술 스택 블록체인 암호화폐 탈 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 토큰 및 NFT 메타버스, 가상 현실 실용적인 인공지능 AI 아직 이렇게만 말해서는 조금 이해하기 어렵다.. 웹 2.0과 1.0에 ..

    [백준] 3273 두 수의 합 [Java]

    https://www.acmicpc.net/problem/3273 3273번: 두 수의 합 n개의 서로 다른 양의 정수 a1, a2, ..., an으로 이루어진 수열이 있다. ai의 값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자연수 x가 주어졌을 때, ai + aj = x (1 ≤ i < j ≤ n)을 만족하는 www.acmicpc.net 요즘 강의를 들으면서 문제를 풀고 있는데 시간초과로 인해 틀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문제도 풀면서 어 이중포문으로 풀면 쉬울거 같은데? 하면서 이것도 시간초과 되려나 생각했지만 역시나 시간초과였다.. 아직 기본적인 문제만 풀 줄 알아서 검색해봤다. 이 문제는 투 포인터 라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투 포인터란? 투 포인터 투 포인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