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JSP] 기초 문법

    [JSP] 기초 문법

    JSP는 기본적으로 HTML을 기반으로 그 위에 자바 코드를 끼워 넣는 식으로 실행된다. 그래서 실제로는 대부분의 변수 선언, 메서드 선언, 로직 등 자바 언어로 짜게 된다. 하지만 자바 코드를 HTML 사이에 끼워 넣을 때 필요한 문법이 있다. 1. 지시어 페이지 지시어로, 문서 전체에 적용되어야 할 내용을 입력한다. JSP 내에서 JSP를 실행할 Container에게 해당 페이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되는지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JSP 지시어는 page, include, taglib 이렇게 3가지로 분류한다. 1.1 page 지시어 총 12가지의 속성을 지정할 수 있고, 하나의 지시어에 모두 넣어도 상관없고 분리하여 각각 하나씩 지정해도 상관없다. 하지만 import 속성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한번 씩 ..

    [Java] Optional 이란?

    [Java] Optional 이란?

    Optional 객체를 사용하면 예상치 못한 NullPointException 예외를 제공되는 메소드로 간단히 회피할 수 있다. 즉, 복잡한 조건문 없이도 널(null) 값으로 인해 발생하는 예외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NPE(NullPointException) ?] 개발을 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예외 중 하나가 NPE이다. NPE를 피하려면 null 여부를 검사해야 하는데, null 검사를 해야 하는 변수가 많은 경우 코드가 복잡해지고 번거롭다. 그래서 null 대신 초기값을 사용하길 권장하기도 한다. List names = getNames(); names.sort(); // names가 null이라면 NPE가 발생함 List names = getNames(); // NPE를 방지하기 위해 nu..

    [Spring] DAO, DTO, VO, Entity 란?

    [Spring] DAO, DTO, VO, Entity 란?

    spring을 사용하면 가장 먼저 접하는 용어 중 하나가 DTO DAO VO 일 것이다. DAO DAO(Data Access Object)는 데이터베이스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이다. DataBase에 접근하기 위한 로직 &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PA, Hibernate, Mybatis 등의 Persistence Framework를 통해 접근한다. DTO DTO(Data Transfer Object 는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 DTO는 로직을 가지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getter & setter)만 가지는 클레스이다. 따라서 DTO는 데이터 전송(이동) 객체라는 의미를 가진다. @Getter @Setter class ArticleDTO { pri..

    [JSP] Java Beans

    [JSP] Java Beans

    Java Beans Java에서의 클래스를 JSP에서는 Java Beans라고 한다. spring에서는 Model이라고 하며 해당 모델이 어디서 사용되느냐에 따라 MemberVO, MemberDTO, MemberDAO, Entity 로 나뉜다. 자바로 작성되고 재사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이다. 장점 form data 처리하기 좋다.( 수많은 파라미터를 자바 빈에 담아 사용/전달할 수 있다) 재사용성 하나의 JSP 페이지에 종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 여러 JSP 페이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컴포넌트 기반 구현 자바빈즈를 통해 객체와 관련된 작업들은 해당 클래스에서 작성 가능하다. 자바 빈즈가 하나의 컴포넌트를 구성한다. 자바 빈즈의 관례 패키지화(자바 빈즈는 디폴트 패키지에 있으면 X) 기본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