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애자일(Agile) 방법론

    이번주부터 파이널 프로젝트 시작이다. 그 전에 PM특강을 들었다. 자세히 설명해 주신 부분 중 하나가 agile 방법과 waterfall 방법 등등.. 이 있었다. 그 중에서 애자일 기법에 대해 알아보자. 등장배경 초기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은 계획 중심의 프로세스였다. 마치 도시 계획으로 건축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하며, 당시에는 이런 프로세스를 활용하는 프로젝트가 대부분이였다. 하지만 90년대 이후, 소프트웨어 분야가 넓어지면서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이 '일반 대중들'로 대중화 되기 시작했다. 이제 모든 사람들이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의 대상으로 되면서 트렌드가 급격하게 빨리 변화하는 시대가 도달했다. 이로서 비즈니스 사이클(제품 수명)이 짧아졌고, SW 개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새..

    캐시 메모리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CPU와 메모리 속도 차이로 인한 병목 현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병목 현상이란? 데이터의 집중적인 사용으로 인해,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의 사용 빈도가 능러나 성능이 저하 되면서 전체 시스템이 마비되는 현상을 말한다.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횟수를 줄여 성능 향상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CPU와 가까운 cache memory에 저장 함으로써,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쓸 수 있다. 보통 CPU에 chche memory가 2~3개 사용 된다. (L1, L2, L3 캐시 메모리) L1, L2, L3 cache momory L1, L2, L3 순서대로 속도가 빠르다. L1, L2, L3 순서대로 참조에 먼저 사용 된다. L1: CPU 내부에 존재 ..

    CPU 작동 원리

    최근에 수업을 들으면서 집에도 컴퓨터를 하나 사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구입을 했는데 너무 만족스럽다.. CPU는 인텔 12400f 를 구매했다. 가성비로 좋은 제품 중 하나라고 한다. 첫 컴퓨터하는 과정에서 많은 검색을 하다보니 자연스레 하드웨어에도 관심이 생겼다 자세한 내용은 몰랐지만 이제는 이쪽을 공부하다 보니 자세히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공부하는겸 정리했다. CPU란? CPU란 중앙처리장치(CPU)는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 비교 등의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장치이다. 다양한 입력 장치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한다. CPU는 사람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의 모든 시스템을 제어, 처리하는 가장 핵..

    컴퓨터의 구성

    면접 블로그를 보면서 나도 이런식으로 정리해야겠다 라는 느낌을 받아서 꾸준히 작성해 보려고 한다. 가장 기초적인 컴퓨터의 구성부터 알아보자. 컴퓨터의 구성 컴퓨터 시스템은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뉜다. 하드웨어: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장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명령어 집합 하드웨어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CPU), 기억장치, 입출력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처리장치(CPU) 인간으로 따지면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고 명령어의 수행 순서를 제어함 중앙처리장치는 비교와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연산장치(ALU) 와 명령어의 해석과 실행을 담당하는 제어장치, 속도가 빠른 데이터 기억장소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개..